휴먼환경일보 : 환경지킴이


 

사회 홈술-혼술 늘어난 코로나19 시대, 수입주류 감소세

페이지 정보

작성자휴먼일보 댓글 0건 작성일 21-05-04 13:00

본문

홈술-혼술 늘어난 코로나19 시대, 수입주류 감소세


ff63264d01127fbf5dd00c0ef56eb789_1620100784_7579.png
 


□ 식품의약품안전처(처장 김강립)는 2020년 주류 수입현황을 분석한 결과 전체 주류 수입량은 전년 대비 13.7%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, 맥주와 청주는 각 22.8%, 45.4%씩 감소했고, 와인과 같은 과실주 수입량은 30.4%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.

    * 최근 3년간(’18∼‘20) 맥주와 청주는 각 15.5%, 38.9% 감소, 과실주는 17.8% 증가

 

전체 주류 수입 감소세  * 20년 수입식품 통합시스템 신고현황은 잠정치 임

 ○ 주류 수입량은 ‘16부터 18년까지 평균 28.5%씩 증가세를 보였으나,  ’19년부터 점차 감소하기 시작해 ‘20년에는 전년 대비 13.7%가 감소한 40만 4,229톤이 수입됐습니다.

단위: 중량(톤)

 

    * ‘19년 국내 주류 생산량은 4,063천톤 / 수입은 469천톤으로 약 9배 차이

 ○ 특히 주류 수입량 1위인 맥주가 ‘18년 39만 5,021톤 수입된 이후,  ’19년 36만 2,027톤, ‘20년 27만 9,654톤으로 수입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습니다.

 

  - 이는 수입맥주 시장의 1위를 차지하던 일본산 맥주에 대한 불매운동(일본 제품)과 와인, 수제 맥주 등 타 주류 소비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됩니다.

 

일본산 맥주·청주 수입 줄고, 과실주 수입은 증가 

□ 맥주 수입량은 줄곧 1위를 차지하던 일본산 맥주(‘18, 8만 6,711톤)가 ’19년 2위(5만 902톤), ‘20년 85.9% 감소해 9위(7,174톤)에 그쳤고, 그 사이 네덜란드산 맥주가 전년 대비 31.8% 증가한 5만 4,072톤 수입되며 ’19년 5위에서 1위로 올라서는 등 일본산 맥주의 빈자리를 다른 수입 맥주가 채웠습니다.

   

연 도

2018

2019

2020

 

중량(톤)

395,021

362,027

279,654

건수

7,786

6,868

6,094

<2018~2020년 맥주 수입현황>

    * 맥주 수입 상위 10개국(‘20) : 네덜란드, 독일, 중국, 미국, 폴란드, 영국, 벨기에, 덴마크, 일본, 홍콩 순

 

 ○ 청주의 수입량도 ‘19년 4,266톤에서 ’20년 2,330톤으로 전년 대비 45.4% 감소했는데, 대부분 같은 해 일본산 청주(사케)의 수입 감소(3,365톤→1,515톤, 45.0%감소) 때문인 것으로 나타나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코로나19와 함께 맥주뿐 아니라 청주의 수입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.

   

연 도

2018

2019

2020

 

중량(톤)

6,317

4,266

2,330

건수

3,128

2,474

2,314

<2018~2020년 청주 수입현황>

 

 ○ 반대로 과실주는 ’20년에 6만 9,413톤이 수입돼 전년 대비 30.4%가 증가했는데 휴가철, 크리스마스 시즌과 같이 특정 시기증가 경향을 보인 것과 달리 최근에는 특정시기와 관계없이 꾸준한 증가 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, 1만원 이하 제품 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.

  - 이는 ‘홈술’과 ‘혼술’이 트렌드(trend)가 되면서 과실주의 용도가 특별한 날에 즐기는 술에서 혼자 또는 가족과 함께 일상에서 즐기는 술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

   

연 도

2018

2019

2020

 

중량(톤)

50,569

53,231

69,413

건수

28,588

29,814

34,663

<2018~2020년 과실주 수입현황>

  - 또한, 수입량 상위 20개 과실주 대부분 1만원 이하의 가성비 좋은 와인으로, 집에서 일상적으로 즐기기에 부담 없는 제품의 수입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.

  - ‘20년 과실주 주요 수입국은 칠레, 스페인, 덴마크, 이탈리아, 프랑스, 미국, 호주 순으로 최근 3년간 순위 변동은 일부 있었으나 주요 수입국가에 변동은 없었습니다.

    * ‘19년 와인 생산국 : 이탈리아, 프랑스, 스페인, 미국, 아르헨티나, 호주, 칠레, 남아공 순으로 전체 와인 생산량의 47% 차지(출처: 국제 와인기구)

 

코로나19 전후 음주실태 및 건전한 음주습관 필요

□「’20년 주류 소비·섭취 실태조사」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1회 평균 음주량은 감소한 반면, ‘17년과 비교할 때 모든 연령대에서 고위험 음주* 경험 비율이 상승했고(57.3%→63.5%), 남성(67.2%)이 여성(59.7%)보다 고위험 음주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된 바 있습니다.

 

    * 세계보건기구(WHO)가 제시하는 용어로 과음·만취·폭음과 같이 건강의 해가 되는 수준의 음주를 말함

 ○ 코로나19 영향으로 ’혼술‘과 ’홈술‘*을 즐기는 사례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술로 건강을 해치지 않기 위해서는 적정 음주량을 지켜 과도한 음주가 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고, 건전한 음주 습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

    * 음주 빈도는 줄고, 음주 장소는 주로 집으로, 음주 상대는 혼자 또는 가족으로, 음주 상황은 혼자 있을 때나 TV등을 볼 때로 달라졌습니다.

 

□ 식약처는 앞으로도 국민이 궁금해 할 만한 수입식품 관련 최신 정보를 지속 제공하고,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 소통 강화 및 수입식품 안전관리에 최선을 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

 ○ 참고로, 수입식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수입식품 정보마루(http://impfood.mfds.go.kr)에서 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




출처:식품의약품안전처

등록일: 2021.05.04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카테고리

카테고리
 공지사항
 소개글
 갤러리
종합뉴스
 칼럼.기고
 동영상뉴스
 환경뉴스

공지사항

프리미엄

포토뉴스

포토뉴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