휴먼환경일보 : 환경지킴이


 

사회 소방청, 전기화재 예방에 각별한 주의 당부

페이지 정보

작성자휴먼일보 댓글 0건 작성일 21-05-13 12:00

본문

소방청, 전기화재 예방에 각별한 주의 당부 


ff63264d01127fbf5dd00c0ef56eb789_1620874777_2372.png
 


□ 소방청(청장 신열우)은 최근 5년간(2016~2020발생한 화재 중 전기로 인한 경우가 약 23%(47,492)를 차지하고, 246명의 사망자(부상 1,654)와 6,680억원의 재산손실이 발생하는 등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나 전기화재 예방에 각별히 주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.

□ 소방청 통계자료에 따른 전기화재의 원인을 살펴보면, 절연열화*에 의한 단락**이 24.3%(5,120) 가장 많았고 트래킹***에 의한 단락 (11.1%/5.264)접촉 불량에 의한 단락(10.8%/5,120) 순으로 나타났다

*절연열화 기기나 재료에 전기나 열이 통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점차 약해지는 현상

**단락 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극이 다른 두 개의 전선이 접촉

***트래킹 전기부품 주변에 먼지 등 이물질이 쌓이면서 전류가 흘러 일어나는 발열발광현상

○ 발생 장소별로 살펴보면주택 및 아파트 등 일상 주거시설*에서 전기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했고(27.8%/13,205)산업시설(17.3%/8,197)생활서비스 시설(14.2%/6,761)이 뒤를 이었으며** 주거시설에서는 전기화재로 인한 사망자 또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.(67%/165)

*주거시설 단독주택공동주택기타주택(비닐하우스주거용콘테이너기타주택)

**주거시설 27.8% > 산업시설 17.3% > 생활서비스 14.2% > 자동차 12.2% > 판매·업무시설 8.9%

□ 전기화재 예방을 위해서는콘센트를 사용할 때 여러 전기제품을 연결하는 문어발식 사용을 삼가고 낡거나 손상된 전선을 주기적으로 확인해 단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즉시 교체해야 한다

○ 또한 정격용량을 초과하는 전기를 사용하면 과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어 전기제품 규격에 맞는 퓨즈와 차단기를 사용해야 한다.

□ 한편2020년 한국전력통계에 따르면제조업 분야의 판매전력량은 250,104Gwh로 전년 대비 4.2%(10,868Gwh)가 감소한 반면가정용 분야의 판매전력량은 5.1%(3,619Gwh) 증가한 74,074Gwh로 나타났다.

○ 이는 코로나19 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어 재택근무·원격교육 등 가정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보여지며가정 내 전력 사용량이 증가한 만큼 냉·난방용품의 장기간 사용을 자제하고 외출 시 플러그를 뽑는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더욱더 준수해야 한다.

□ 소방청 남화영 소방정책국장은 전기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기설비와 제품의 안전한 사용과 철저한 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하고가장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.





출처: 소방청

등록일:2021.05.13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카테고리

카테고리
 공지사항
 소개글
 갤러리
종합뉴스
 칼럼.기고
 동영상뉴스
 환경뉴스

공지사항

프리미엄

포토뉴스

포토뉴스